Physical 에서만 forward engineering을 할 수 있다.
내가 짠 ERD는 Logical이라서, 이를 먼저 Physical로 변경해야 한다.
(애초에 Logical/phsical로 만들었어야 함.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fVqdm/btqHtFtJiIb/fDW7N99u5CI2eYxoUKXgTK/img.png)
우선 Logical 화면 내의 ERD를 복사해서 새로운 모델에 붙여넣는다.
ctrl + a 하면 전체 다 선택되고, 이를 ctrl + c 하면 됨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SBeVi/btqHq1X91bG/PdRzJeytLUPg4ovt2OjOZ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NLHR/btqHq2bLV6h/6WxapvAK0MyfmoeO704yq0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vPNgt/btqHq1X93Lj/rMKQ1Tv5spgi7QV6sTJbi0/img.png)
새로운 모델을 생성하면
상단의 Logical 부분이 활성화 된다.
이를 Physical로 바꾼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F4rY/btqHxa0QzOm/IZKHk8Kx081LWKHLilxhG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gCWYe/btqHhQjiK8G/RP25EC79q120YEuySaX9F0/img.png)
이후 schema generate 누른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bIHHG/btqHsbe8GiI/KsnxVpCFZLRAzW8wJZLXj0/img.png)
하단의 preview를 누르면 SQL 코드가 나온다.
SQL developer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하면
한번에 테이블이 생성되고 제약조건이 실행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vXUD/btqHlU6A87F/PFk5dv07e1XkGuKhBSnQS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sJ2I/btqHsdREsw1/PoXzK1saBRD0uNrYhDW0k0/img.png)
* 참고
나는 Test 테이블을 만들 목적이었으므로,
ERD의 Entity에 test를 붙여서 새롭게 만들어서 SQL로 변환함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3twI/btqHtFmXORg/C3pQFmlkqFiVBHSumok9a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KK1X/btqHvLAdAf5/OKBeK3HzNnmLH8TGPysBKk/img.png)